2025/03 3

[함수형코딩]WEEK3 불변성 이야기

함수형 코딩책에서 사용하는 개념어들은 이렇게 바꿔서 생각하면 쉽다.액션 -> 부수효과 , 계산 -> 순수함수, 데이터 -> 불변성 이번에 읽은 챕터에서는 더 다양한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책을 읽으면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불변성과 그에 따른 복사 개념들을 정리해 보려고 한다. 책에 있는 내용과 내가 찾아본 내용을 추가해 작성했다! 🚀 불변성은 왜 중요할까? 책에서 액션을 줄이는것 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불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불변성이란 말 그대로, 값을 바꾸지 않고 새 값을 만든다는 것인데 예를 들면, 📌 가변 방식const arr = [1, 2, 3];arr.push(4); //원본이 바뀜const user = { name: 'Lee', age: 30 };user.age..

FE/BOOK 2025.03.29

[함수형코딩]WEEK2 함수형 사고: 더 좋은 액션 만들기

🚀 프로그래밍에서 액션과 계산이란? 버그의 대부분은 예측할 수 없는 동작 에서 발생된다.특히나 외부 상태를 변경할때 우리가 의도하지 않은 결과가 나올 수 있다. 함수형 프로그램밍은 액션은 최소화, 계산은 최대화 하는 방식으로코드를 더 예측 가능하고, 유지보수하기 쉽게 만든다.  함수형 코딩책에서 사용하는 개념어들은 이렇게 바꿔서 생각하면 쉽다.액션 -> 부수효과 , 계산 -> 순수함수, 데이터 -> 불변성 🚀 계산 이란? - 동일한 입력 -> 동일한 결과를 반환- 외부 상태를 변경하지 않는다. - 암묵적 입력과 출력이 없는 함수 📌 잘못된 예let total = 0;function addToTotal(value) { total += value; // 외부 상태(total)를 변경 ❌ return..

FE/BOOK 2025.03.19

[함수형 코딩] WEEK1 액션, 계산, 데이터

지난 회사에서 XML로 작성된 코드를 React로 변경하는 업무를 진행하면서, 리팩터링 작업에 대한 고민을 굉장히 많이했다.리팩터링의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 결과의 변경 없이 코드의 구조를 재조정 하는 것 ' 인데,특히나 작업시 가장 고민되었던 포인트는 ' 어떤 기준으로 코드를 재 조정할껀데? ' 였다. 위 책을 통해 그 고민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을 것 같아서 스터디를 시작하게 되었다.  WEEK1에서는 액션, 계산, 데이터의 구분에 대한 내용을 다뤘다.액션, 계산, 데이터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는 코드를 액션, 계산, 데이터로 나눈다.액션계산데이터실행 시점과 횟수에 의존 = 부수효과, 부수효과가 있는 함수, 순수하지 않은 함수 ex) 이메일 보내기, DB읽기입력으로 출력을 계산, 호출 시점이나 횟수에..

FE/BOOK 2025.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