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 3

[함수형코딩]WEEK6 일급함수, 너 뭐 돼?

지난 주차에는 계층형 설계에 대해서 이야기 나눴다.이번 주는 책의 흐름이 한번 바뀌는 파트로 일급 함수에 대해서 이야기하도록 하겠다. 일급 함수(First-Class-Function)함수형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공부하다 보면 계속 등장하는 단어가 있다.바로 일급 함수(First-Class-Function) 자바스크립트에서 "함수는 값이다"라는 말은, 함수를 숫자나 문자열처럼 변수에 담고, 전달하고, 리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다룰 수 있는 함수는 일급 함수라고 부른다. 뭔말인지 모르겠으니 예시를 만들어보았다. 📌 예시// 값으로 다룰 수 있다. const add1 = a => a + 2;// 변수에 담을 수 있다const greet = () => console.log("hi");// 함수의 인..

FE/BOOK 2025.04.15

[함수형코딩]WEEK5 계층형 설계- 추상화의 벽, 작은 인터페이스, 편리한 계층

지난주에는 계층형 설계의 기본 구조와 직접 구현 패턴에 대해 이야기했었다. 이번엔 그 흐름을 이어서,코드를 더 명확하고 안전하게 만들기 위한세 가지 설계 패턴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1️⃣ 추상화의 벽 (Abstraction Barrier)상위 계층은 하위 계층의 구현 세부사항을 몰라도 동작할 수 있어야 한다는 원칙 즉, 하위 함수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는 몰라도,“그 기능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만 알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 예시function getActiveUsers(users) { return users.filter(user => user.active);}function getUserEmails(users) { const active = getActiveUsers(users); // ✅ 의미..

FE/BOOK 2025.04.08

[함수형코딩]WEEK4 계층형 설계- 직접 구현

소프트웨어 설계: 코드를 만들고 테스트하고, 유지보수하기 쉬운 프로그래밍 방법을 선택하기 위해 미적 감각을 사용하는 것추상적 계층: 구체적인 코드에서 멀어지고 무엇을 할지만 보여주는 상위 레벨의 설계 단위이다. 소프트웨어 설계를 위한 미적 감각을 키우기 위해서는 계층형 설계라는 것을 사용하면 좋다고 책에서 제안하고 있다. 계층형 설계(stratified design)란?책에서는 소프르웨어를 계층으로 구성하는 기술로,각 계층에 있는 함수는 바로 아래 계층에 있는 함수를 이용해 정의하는 방법 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렇게만 읽으면 물음표 같으니 쉽게 설명하면,"복잡한 문제를 처리할 때는 한번에 처리 하지 않고, 의미 단위로 계층을 나눠서 설계하자"는 것이다. 🔹 그래서 계층은 어떻게 나누는데?Low-Le..

FE/BOOK 2025.04.03